IT 시사 및 CS 지식 56

Jira - Jira 연결 관련 설명

Jira 이슈 관리 Jira라는 툴은 이슈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툴임 그리고 이슈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이슈를 연결을 시켜야하는데, 그 연결에 관해서 설명할거임 ㅎㅎ 이 연결이라는 거는 보통 이런식으로 하는구나 ~ 하고 알아두면 좋을듯 ??? (전에도 말했지만 이 Jira라는 거는 거의 모든 걸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고, Jira 개발자가 따로 있을 정도!) https://seokmimmmmmmmm.tistory.com/entry/Jira-1Jira%EB%9E%80 Jira - Jira란? 들어가며 지금의 회사에 입사하기 전에도 Jira(지라)라는 툴은 사용해봤음 뭐 어따 쓰는건지도 모르고 그냥 뭐 실제로 회사에 입사를 하게되면 협업할 때에 지라같은 툴을 쓴다~ 라고 하니까 그 seokmimmmmmm..

Akamai mPulse란?

Akamai mPulse란? Akamai mPulse는 Akamai Technologies라는 회사가 제공하는 웹 성능 모니터링 및 분석 도구임. Akamai Technologies는 글로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및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로, 인터넷 트래픽 관리와 애플리케이션 가속 기술을 제공하고 있음! 그럼 CDN은 뭔데? https://seokmimmmmmmmm.tistory.com/entry/CDNContent-Delivery-Network%EC%9D%B4%EB%9E%80-feat-Akamai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feat. Akamai) 지금 다니는 회사에 입사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앉아서 졸음 참기를 하는 중이였다,,, 옆자리 뒷자리에서 뭐시..

referer란? (referrer, Referer, ...)

회사에서 API 개발을 하나 하게 되었음 기존에 GET 방식으로 단건만 처리하던 API를 다건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수정하는 건이였는데, 쿼리스트링으로 리퀘스트를 받아서 뭔가를 처리하고 리스폰스하는 API였음 우선 여러건의 데이터를 리퀘스트로 받아야 했기 때문에 json 형식으로 @RequestBody를 사용하였고, 자연스럽게 POST 방식으로 기존의 API를 변경함. 엥 근데? 개발을 다 하고 포스트맨으로 테스트를 하려고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어놨는데, 디버거에 걸리지가 않았음 !!! 걍 컨트롤러에 들어가지조차 못하고 있었음. (인터페이스 서버에서 개발한게 아니라 그냥 컨트롤러 하나 만들어서 개발해놨던 API라 테스트를 로컬 서버를 돌리고 Postman으로 했음) 그래서 왜 그러나 하고 쭉 따라가 봤..

[AWS]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 관리형 서비스, 비관리형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관리형 서비스, 비관리형 서비스 관리형 서비스(Managed Service)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관리나 운영(시스템 운영)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하는 것 AWS에서는 RDS나 S3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관리형 서비스에 속함 특히 데이터 양에 따라 저장 영역을 자동으로 확장하는 기능을 가진 Aurora처럼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를 완전관리형 서비스(Full Managed Service)라고 함 비관리형 서비스 EC2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OS 설정을 관리하거나 장애 대응을 해야하는 서비스

[AWS]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 서비스 분류 및 대표적인 서비스

AWS 서비스 분류 AWS 서비스를 파악할 때 서비스의 특성별로 분류해 이해하면 좋음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이나 미들웨어를 동작시키기 위한 가상 서버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스토리지 파일을 저장하는 서비스. 가상 디스크, 가상 스토리지 등 디비가 아님 네트워크 및 콘텐츠 전송 각 서비스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서비스 AWS 내부의 가상 네트워크, 온프레미스 환경과 AWS를 연결하는 전용 회선, DNS, CDN 등의 서비스가 포함됨 데이터베이스 기비를 제공하는 서비스 데이터 정리와 유연한 검색을 위한 RDB 단순한 구조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다루는 키-밸류 디비 대량의 데이터 집계에 특화된 열지향 스토리지 디비에 저장된 데이터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

[AWS]AWS 특징 - AWS를 이해하기 위한 6가지 특징 (6)

설계의 모범이 되는 프레임워크 AWS는 Well-Architected라는 아키텍처 관련 모범 사례를 모아 사용자가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운영 우수성 보안 안정성 성능 효율성 비용 최적화 지속 가능성 → 이 6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한국어 백서 공개 (2019년 업데이트) | Amazon Web Services

[AWS]AWS 특징 - AWS를 이해하기 위한 6가지 특징 (5)

장애를 예상한 설계 AWS는 장애는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로 설계한다. 장애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 Design for Failure 서버를 여러 AZ에 배포해 한 개 이상의 AZ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렇게 시스템을 중단 없이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용성이라고 함

[AWS]AWS 특징 - AWS를 이해하기 위한 6가지 특징 (3)

사용한 만큼만 이용료 지불 AWS는 종량 과금제이다. 요금 X 이용 시간 이라는 형태로 이용료가 발생함 온프레미스는 초기 비용이 많이 발생하지만, AWS는 그냥 내가 이용한 만큼만 지불하면 되니까 소규모 서비스를 시작할 때 유리함. 따라서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는 것이 AWS에서의 비즈니스 운영에 대한 핵심 가치이다!

[AWS]AWS 특징 - AWS를 이해하기 위한 6가지 특징 (2)

글로벌 시스템 구축 가능 AWS의 데이터 센터는 전세계에 존재함. 지역별로 리전이라는 단위로 분리되어 있음. 하나의 리전에는 여러개의 가용 영역(AZ, Available Zone)이 존재하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됨.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서 장애가 나도 다른 AZ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사용할 때는 어느 리전을 선택만 하면 됨.

[AWS]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용어 알아두기 (5)

서비스 제공 형태에 따른 클라우드 분류 클라우드 서비스는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SaaS, PaaS, IaaS로 나눌 수 있음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인프라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가장 넓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직접 OS,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해야 됨.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 EC2, S3, VPC, EBS 등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IaaS 형태의 가상화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Platform)을 미리 구축해서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 사용자는 OS, Server 하드웨어, Network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이 어플리케이션 자..

[AWS]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용어 알아두기 (4)

개방형 클라우드와 폐쇄형 클라우드 이 둘을 섞으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임. 폐쇄형 클라우드는 기업 내부의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공개하지 않도록 기업 내부에 구축하는 형태 온프레미스랑 비슷함 마찬가지로 초기 투자 비용이 큼 계약, 이용. 사용자는 서비스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자신만 이용. 준비한 클라우드 환경을 서비스로 이용. 직접 준비하거나 호스팅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음 AWS는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전용 기기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베어메탈(Bare Metal) 서비스. 하드웨어 상에 어떤 소프트웨어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 가상으로 사용자의 점유 공간을 제공하는 VPC(Virtual Private Cloud) 서비스가 있음. 얘네들은 이용이 끝나면 대여한 서버를 다른 사용자에게 대시..

[AWS]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용어 알아두기 (3)

서버리스 서버가 없다는 뜻 → 서비스가 이용될 때만 서버를 가동하는 방식 서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프로그램의 결과만 받는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할 때 서버를 생성 후 제공. 생성에 약간의 대기 시간 필요. 이용이 끝나면 서버는 삭제 서버리스에서 사용자를 위해 특정 서버를 제공해 두는 방식(프로비저닝 - provisioning) 서버가 계속 실행 중. 언제든 이용 가능. 그러나 이용하고 있지 않아도 서버가 동작 중이라면 요금 발생

[AWS]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용어 알아두기 (2)

가상화 가상 서버는 물리 서버의 CPU나 메모리 같은 컴퓨터 자원을 일부 독점해 물리적으로 독립된 서버와 같이 동작 물리 서버를 임대하는 경우 -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물리 서버를 한 대씩 대여하다 보면 서버 대수가 부족할 수 있다. 가상 서버를 임대하는 경우 - 1개의 물리 서버 내에서 여러개의 가상 서버를 구축해 대여함으로써 대량의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도 가상화 기술로 1개의 기기를 여러 기기처럼 동작시킬 수 있음

[AWS]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용어 알아두기 (1)

온프레미스란 on-premise 사용자가 관리하는 시설 내에 서버 등의 기기를 설치해 운용하는 환경 데이터 센터 물리적인 준비 + 이용하기 위한 설정 + @ 클라우드란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사업자의 자산을 서비스로 제공 물리적인 준비, 설정, 설치, 관리 등 신경쓸 필요 없음. 서비스 제공자가 함 비즈니스 요구 온프레미스 퍼블릭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단일 테넌트(컴플라이언스용) O X 매우 안전한 데이터 암호화 O O 맞춤형 하드웨어, 특수 목적의 시스템 O X 용량을 손쉽게 확장 및 축소 가능 X O 인프라에 대규모의 정기적인 투자 필요 O X 종량제 결제, 사용랑 기반 가격 책정 X O 완전한 데이터 가시성 및 관리 권한 O X 내장형의 자동화된 데이터 백업 및 복구 X O 제로에 가까운 중단 시..

[AWS]AWS란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Amazon Web Services 200개 이상의 서비스 컴퓨터(서버)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기능을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함 컴퓨팅,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모바일, IoT, 기계 학습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점유율이 높은 AWS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AWS 같은 클라우드를 개방형 클라우드(Public Cloud)라 함 전세계 클라우드 시장에서 점유율이 제일 높음 AWS 말고 GCP, Azure 등이 있음.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Amazon Web Services

Jira - Jira란?

들어가며 지금의 회사에 입사하기 전에도 Jira(지라)라는 툴은 사용해봤음 뭐 어따 쓰는건지도 모르고 그냥 뭐 실제로 회사에 입사를 하게되면 협업할 때에 지라같은 툴을 쓴다~ 라고 하니까 그냥 썼던 것 같음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는 그냥 지라를 체크리스트나 To-do 리스트의 용도로만 썼었던 것 같다. 음,, 알림장 정도? ㅋㅋㅋㅋㅋㅋㅋ 다른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할 때에도 그냥 대충 오늘의 할 일을 적고 대충 올리고 대충 티켓을 완료에다가 갖다 놓고 그런,,,, 진짜 말도 안되는 짓을 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금 생각해보니까 웃기네 모두가 별로 중요성을 느끼지 못했고, 그냥 노션에 기록하는 거면 다 된 것 마냥 했다. 하지만 입사하고 지라와 같은 협업 툴, 프로젝트 관리, 이슈 트래킹 툴이 얼마나 중요..

Spring Batch - (4)배치 작업 개발

배치 작업 개발 스프링 배치를 사용하여 배치 작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Job 설정과 구성, Step 정의와 처리 로직 구현, 그리고 Reader, Processor, Writer의 역할과 사용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 1. Job 설정과 구성 Job은 스프링 배치의 최상위 개념으로, 배치 작업의 실행 단위. Job은 JobBuilderFactory를 사용하여 생성하고, JobBuilder를 통해 Job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음. JobBuilder를 사용하여 Job의 이름, 실행 시점, 파라미터 등을 설정하면 됨! 2. Step 정의와 처리 로직 구현 Step은 Job을 구성하는 작업 단위. 각 Step은 Reader, Processor, Writer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작업의 세부 처리를 정의한..

Spring Batch - (3)스프링 배치 아키텍처

Spring Batch Architecture 스프링 배치는 Job, Step, Tasklet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한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이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배치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1. Job, Step, Tasklet 개념 - Job: 스프링 배치의 최상위 개념으로, 하나 이상의 Step으로 구성된다. Job은 배치 작업의 실행 단위를 나타냄. 개발자는 Job을 정의하고 구성하여 작업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 Step: Job을 구성하는 작업 단위. 각 Step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Reader, Processor, Writer 등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 Step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필요에 따라 병렬로 실행될 수도 있다. - Taskl..